인터페이스 설계
01. 인터페이스 방식
1) 직접 연계 방식
- 중계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송수신 시스템끼리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방식
- 중간 매개체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연계 처리 속도가 빠르고 구현이 단순함
- 송수신 시스템 간의 결합도가 높아서 시스템 변경에 민감함
- 개발 비용과 개발 기간이 짧음
- 보안을 위한 암, 복호화 처리와 비즈니스 로직 구현을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해야 함
- 전사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합 환경 구축이 어려움
2) 간접 연계 방식
- 연계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송수신 엔진과 어댑터를 활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방식
- EAI 서버와 같은 연계 서버를 활용하는 방식
-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등 다양한 환경을 갖는 시스템들을 연계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음
- 인터페이스 변경 시에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함
- 보안이나 업무 처리 등의 반영이 용이함
- 인터페이스 아키텍처와 연계 절차가 복잡함
- 중간 매개체로 인해 성능 저하 요소가 존재함
- 연계 서버로 인한 성능 저하, 개발 및 테스트 기간이 직접 연계 방식보다 오래 걸림
3) 시스템 연계 기술
- 시스템 연계 기술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Link를 이용하거나 JDBC, Socket, Web Service 등이 있음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 시 연계 아키텍처에서 제시한 표준 기술을 이용
4) 시스템 연계 유형
- 실시간 처리 방식
- 업무의 성격 및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을 즉시 처리하는 방식
- 지연 처리 방식
- 단위 처리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의 처리 방식
- 배치 처리 방식
-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해야 하는 경우의 처리 방식
02. 인터페이스 오류 처리
1) 인터페이스 오류 유형
1. 연계 서버나 엔진의 오류
- 시스템 연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나 오류 유형
- 연계 서버의 기능과 관련된 장애 또는 오류로 연계 서버 다운, 송수신 연계 시스템의 접속 오류
2. 연계 데이터의 오류
- 연계 데이터의 값이 유효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3. 송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 오류
- 연계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유형
- 코드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유형
- 송신 데이터 추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접근 권한 오류, 데이터 변환 처리 오류 등이 있음
4. 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 오류
-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반영하고 코드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오류 유형
2) 인터페이스 오류 처리 방법
1. 인터페이스 오류 처리 절차
- 연계 서버와 송수신 시스템의 로그 파일에 오류 코드와 에러 발생에 대한 상세 내용을 기록하도록 연계 프로그램을 작성
- 인터페이스 담당자는 연계 서버와 송수신 시스템에 기록된 로그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여 오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수립
- 연계 데이터 오류의 경우 데이터를 보정하고 재전송 처리를 함
- 송수신 시스템의 접속 오류는 시스템 담당자를 통해 접속 오류를 해결한 후 재전송
2. 인터페이스 오류 코드
- 오류 유형별로 오류 코드를 정의
-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오류 코드를 공통 코드로 등록
03.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1) 인터페이스 설계 목록
- 연계 업무와 연계에 참여하는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연계 방식과 통신 유형 등에 대한 종보를 포함
주요 목록 | 설명 |
---|---|
인터페이스 ID |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 식별자 표준에 맞게 부여 - 인터페이스 식별성을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 |
인터페이스명 | - 인터페이스의 목적과 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 이름으로 명명함 |
시스템 및 대내외 구분 | -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대내외를 구분 |
연계 방식 | - 웹 서비스, FTP, DB Link, Socket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 방식 |
통신 유형 | - 동기식, 비동기식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통신 유형 |
처리 유형 | -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간 처리, 배치 처리, 지연 처리 등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을 정의 |
주기 | - 대내외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발생하는 주기 |
데이터 형식 | - 고정 길이, XML 등 인터페이스 항목의 데이터 형식 |
2) 인터페이스 정의서
- 인터페이스 명세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저장소와 속성 등의 상세 내역을 포함함
- 연계 방식에 따라 인터페이스 명세 항목이 다르므로 연계 방식을 확인한 후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작성
주요 항목 | 설명 |
---|---|
인터페이스 ID |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 식별자 표준에 맞게 부여 |
요구 성능 | -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처리 건수 - 처리 단위당 데이터 크기 등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성능 |
시스템 정보 | - 송수신 시스템명, 업무명, 서비스명 또는 프로그램 ID, 연계 방식 등 - 연계 방식은 실시간 동기, 실시간 비동기, 배치 파일, 데이터베이스, DB Link |
데이터 정보 | - 데이터 항목 이름,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NULL 구분, 설명, 조건, 데이터 전체 길이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페이스 설계 1 (0) | 2023.05.02 |
---|---|
애플리케이션 설계 8 (0) | 2023.05.02 |
애플리케이션 설계 7 (0) | 2023.05.01 |
애플리케이션 설계 6 (0) | 2023.04.28 |
애플리케이션 설계 5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