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소프트웨어 개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7
RangA
2023. 5. 23. 19:19
연계 테스트 및 검증
01. 연계 테스트
1) 연계 테스트
1. 연계 테스트의 개념
- 송신 모듈, 수신 모듈, 연계 서버의 변환, 모니터링 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하고 검증하는 테스트
2. 연계 테스트 3단계
- 1단계 : 단위 테스트 - 기능 동작 여부 및 결함 여부 확인
- 2단계 : 연계 테스트 - 데이터의 흐름 및 처리 절차, 기능의 정상적 동작 확인
- 3단계 : 통합 테스트 - 운용 애플리케이션 기능과의 통합 구조 흐름 확인
2) 연계 테스트 구간 및 범위
1. 단위 테스트의 대상 및 내용
- 송수신 시스템의 연계 애플리케이션
- 기능 동작 여부 및 결함 여부를 확인
- 데이터 추출, 코드 및 데이터 변환, 데이터 반영 여부를 확인
2. 연계 테스트의 대상 및 내용
- 송신 시스템 연계 애플리케이션
- 연계 서버의 데이터 송수신
- 수신 시스템 연계 애플리케이션
- 데이터의 흐름 및 처리 절차, 기능의 정상적 동작 확인
3. 통합 테스트의 대상 및 내용
- 단위 테스트
- 연계 테스트
- 송신 시스템에서 생성한 데이터가 중계 시스템을 거쳐 수신 시스템으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확인
02.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명세화
1)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명세화
- 테스트 환경은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축함
- 테스트 케이스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을 각각 도출함
- 송수신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위주 결함을 확인하는 단위 테스트 케이스로 작성함
- 연계 테이블 간의 송수신 절차의 흐름을 확인하는 내용으로 작성함
- 단순 개별 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식별하여 작성함
2) 단순 개별 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
- 단순 개별 데이터
- 개별 데이터의 유효값을 체크함
- 유효값이 코드일 경우, 코드 테이블에 등록된 값을 체크함
- 유효한 데이터 타입을 체크함
- 데이터의 길이, 필수 입력 여부 등을 체크함
-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
-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체크함
- 수신 시스템에서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연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인지를 체크함
- 연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참조하는 테이블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데이터를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를 체크함
03. 연계 테스트 수행 및 겸증
1)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 연계 테스트 환경은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축함
- 설치 및 준비사항
- 연계 서버
- 송수신용 어댑터
- 에이전트(Agent) 설치
- 특정 목적에 대해 사용자를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화된 지원 프로그램
- 송수신 운영 데이터베이스
- 연계 데이터 추출 및 반영에 필요한 테이블
- 데이터와 송수신용 연계 애플리케이션
- 협의 사항
- 연계 테스트 일정
- 연계 테스트 절차
- 연계 테스트 방법
- 연계 테스트 소요 시간
- 연계 테스트 환경
-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시간
2) 연계 테스트 수행
- 연계 테스트 케이스의 시험 항목 및 처리 절차대로 실제 연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테스트하고 결과를 확인함
-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단위 테스트
- 송신용 연계 애플리케이션과 수신용 연계 애플리케이션의 단위 테스트를 수행함
- 단위 테스트 대상은 송수신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 기능 동작 여부 및 결함 여부를 테스트
- 데이터 추출, 코드 및 데이터 변환, 데이터 반영 등을 테스트
- 연계 테스트를 수행
- 단위 테스트가 오류 없이 수행 완료되면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대로 데이터 추출, 송수신, 데이터 반영 관정의 연계 테스트를 수행
- 연계 테스트 대상은 송신 시스템 연계 응용 프로그램, 연계 서버(엔진)의 데이터 송수신, 수신 시스템 연계 응용 프로그램
- 데이터의 흐름 및 처리 절차, 각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 연계 테스트 수행 절차
- 송신 시스템 : 수동 혹은 자동으로 실행
- 연계(중계) 서버 : 연계 데이터를 송수신함
- 수신 시스템 : 연계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 시스템에서 실행
3)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
1.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의 개념
- 테스트 결과가 예상한 정상적인 결과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검증을 수행함
- 통합 테스트에서는 송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송신함
- 수신 시스템의 운영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송신 시스템에서 송신한 데이터가 유효한 값으로 검색이 된다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어 처리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음
2. 연계 테스트 결과를 검증하는 방법
- 운영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건수를 카운트(Count)함
- 실제 테이블이나 파일을 열어서 데이터를 확인
- 파일 생성 위치의 파일 생성 여부와 파일 크기를 확인
- 연계 서버 또는 연계 엔진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화면의 내용을 확인
- 시스템에서 기록하는 로그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