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관계 스키마와 함수 종속 03. 관계 대수 1)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 1. 관계 대수의 개념 주어진 관계로부터 원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연산자, 연산 규칙 등을 사용해서 기술하는 절차식 언어 릴레이션으로부터 필요한 릴레이션을 만들어내는 데이터와 연산자의 집합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함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 일반 집합 연산자와 순수 관계 연산자로 구분 2. 일반 집합 연산자 합집합(∪) 예시 : R∪S 릴레이션 R 또는 릴레이션 S에 속하는 튜플의 집합을 구함 교집합(∩) 예시 : R∩S 릴레이션 R, S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튜플의 집합을 구함 차집합(-) 예시 :..

04. 관계 스키마와 함수 종속 01. 관계 스키마 1) 관계 스키마 설계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현실 세계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결정하는 것 2) 관계 스키마 설계 원칙 개체, 속성, 관계를 식별하여 릴레이션으로 구성함 불필요한 데이터와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함 속성 사이의 관계와 데이터의 종속성을 고려하여 설계함 일관성을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설계함 3) 이상(Anomaly) 현상 관계 스키마 설계가 잘못되면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함 특히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 조작 시 예상치 못하는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이상 현상이라고 함 이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

03. E-R 다이어그램(ERD) 작성 01. E-R 다이어그램(ERD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1) E-R 다이어그램의 등장 배경 1976년 피터 첸(Peter Chen)에 의해서 최초로 제안되었으며 그의 논문을 통해 이 모델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정립 여러 데이터 모델 기법 가운데에서 E-R 다이어그램은 표준적인 데이터 모델 기법으로 부상했는데 이 모델이 지니고 있는 단순성 때문에 현재 개념 데이터 모델링이나 논리 데이터 모델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E-R 다이어그램은 개체와 관계로 현실 세계를 표현한 모델 2) E-R 다이어그램의 개념 업무 분석 결과로 도출된 개체와 실체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 것 ERD로 요소들 간 연관성을 도식화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02. 정보 모델링과 데이터 모델링 01. 모델링 1) 정보 모델링과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 :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로 표현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 정보 모델링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논리적인 데이터 구조로 만들어 가는 과정 2) 모델링 단계 현실 단계 : 현실 세계에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개체를 파악하고, 개체의 특징과 개체의 값으로 개체의 실체를 만들어내는 단계 개념 단계 : 여러 개체들의 공통점을 찾아 개체 타입(유형)과 개체의 관계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추상화하는 단계 논리 단계 : 개념 단계에서 파악된 개체를 컴퓨터가 이해할..

01. 개체와 속성 01. 개체(Entity) 1) 개체의 정의 현실 세계의 유형, 무형의 대상체를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단위로 파일에서 레코드에 대응하는 개념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식별 가능해야 함 회사나 학교 등의 조직에서 업무 활동상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동질성을 지닌 개체 집합이나 행위의 집합 2) 개체 타입(Entity Type) 개체 이름과 이 개체의 특성으로 표현된 속성들로 구성하여 만든 논리적인 정의 설계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개체 스키마(Entity Schema)라고도 함 3) 개체 타입의 특성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서 필요한 정보이어야 함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함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개체의 집합이 되어야 함 업무 프로..

03.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01.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1) 파일 시스템 파일의 이름을 결정하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하여 논리적으로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 등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전 단계의 데이터 관리 방식 2) HDBMS(Hierarchical DBMS) 1. HDBMS의 개념 계층형 데이터 모델은 트리 형태의 구조 데이터를 종속적인 관계(상하 관계)로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 속도가 빠르지만, 종속적인 구조로 인하여 변화하는 데이터 구조에 유연하게 대응하기가 어려움 속성들의 관계를 묶어 레코드로, 레코드들의 관계를 링크로 표현 한 레코드는 여러 개의 레코드를 포함 모든 링크 관계는 1:N 관계 HDBMS의 제품에는 IMS, System2000 등이 있음 2. H..

0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1. 질의어(Query Language)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테이블을 생성하고 변경하고 제어함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거나 그 정의를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테이블(Table) :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열(Column)과 행(Row)을 가지며 각각의 컬럼은 지정된 유형의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 행(Row) : 튜플이나 인스턴스 또는 어커런스라고도 함 열(Column) : 속성을 의미 기본키(Primary Key) : 테이블에서 하나의 행을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정보로, 단일 혹은 복수 컬럼 조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일한 속성을 가짐 외래키(..

01.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01.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1)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의 개념 응용 시스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운영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통합하여 컴퓨터에 저장한 데이터를 의미 많은 인원, 다수의 시스템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자료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핵심은 자료의 중복성 제거, 무결성 확보, 일관성 유지, 유용성 보장 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공유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들을 공동으로 공유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조직체가 운영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와 데이터들의 관계 집합 통합 테이터(Integrated Data, 종합 데이터) :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