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아
article thumbnail

0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06. IPv6 주소

1) IPv6 주소의 개념

  • IPv6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32비트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어 128비트의 주소를 사용함

2) IPv6의 주소 형식

  • IPv6는 128비트, 16비트씩 8부분으로 구성됨
  • IPv6 주소 체계는 16진수 숫자로 표시되는 8개의 섹션들과 각 섹션 간 구분은 콜론으로 주소를 표현함
  • 각 섹션은 4비트를 16진수로 표현하며 앞자리의 0은 생략할 수 있음(16진수 한자리는 4비트)

3) IPv6의 주소 특징

  • 전송 속도가 IPv4보다 빠름
  •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증이 용이함
  •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형태의 3가지 유형으로 할당하기 때문에 할당된 주소의 낭비 요인을 줄이고 간단하게 주소를 결정할 수 있음
  • 주소의 확장성, 융통성, 연동성이 향상되며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
  •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IPv4에서 패킷 크기는 64KB로 제한되었으나, IPv6의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호스트 사이에는 임의로 큰 크기의 패킷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제한이 없어지게 되고, 따라서 대역폭이 넓은 네트워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4) IPv6 주소의 3가지 유형

  1. 유니캐스트 주소(Unicast Address)
    • 1:1 통신을 위한 주소로서 하나의 패킷이 하나의 목적지에 전송되고, 이때 인터넷상의 모든 단말기는 최소한 하나의 유니캐스트 주소를 가져야 함
  2. 애니캐스트 주소(Anycast Address)
    • 애니캐스트 주소로 보내진 패킷은 단일 송신자와 그룹 내의 단말기 중 가장 가깝거나 가장 접근이 쉬운 단말기에게 정확히 전달되어야 하며, 애니캐스트 주소는 라우터 주소로 사용됨
  3. 멀티캐스트 주소(Multicast Address)
    • 1:N 통신을 위한 주소로 패킷이 단일 발신지로부터 다수의 목적지에 보낼 때, 멀티캐스트 통신이 이루어짐
    • 하나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멀티캐스트 주소의 수는 시스템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 그룹의 전체 수를 말함



07.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1) CIDR

1. CIDR의 특징

  • IPv4 주소가 부족하여 등장한 기술
  • 기존에 사용하는 클래스로 분할하는 개념을 제거하였음
  • 클래스별로 고정적인 호스트 주소의 개수를 동적으로 줄이거나 늘릴 수 있음
  • CIDR을 Superneting & Subneting라고도 함
  • Superneting은 네트워크를 다시 하나로 합치는 것으로, 예를 들어 C 클래스를 여러 개 묶어 하나의 서브넷으로 만드는 것
  • Subneting은 기존의 방식처럼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C 클래스를 여러 개 분할하여 여러 개의 서브넷을 만드는 것

2. CIDR의 논리적인 주소 표현으로 변경

  • 클래스 A의 주소 54.0.0.0과 서브넷 마스크 255.0.0.0

    • 기존 방식 : 54.0.0.0 ~ 54.255.255.255 범위에 있는 IP 주소 256×256×256개를 상위 1바이트는 제외하고 나머지 하위 3바이트를 마스킹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음
    • CIDR : 54.0.0.0 / 8
  • 클래스 B의 주소 193.56.0.0과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

    • 기존 방식 : 193.56.0.0 ~ 193.56.255.255 범위에 있는 IP 주소 256×256개를 상위 2바이트는 제외하고 나머지 하위 2바이트를 마스킹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음
    • CIDR : 193.56.0.0 / 16
  • 클래스 C의 주소 211.168.83.0과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기존 방식 : 211.168.83.0 ~ 211.168.83.255 범위에 있는 IP 주소 256개를 상위 3바이트는 제외하고 나머지 하위 1바이트를 마스킹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음
    • CIDR : 211.168.83.0 / 24
  • CIDR은 기존의 클래스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으므로 A, B, C 클래스의 IP 주소 범위와 상관없이 "IP 주소/네트워크 비트수"로 지정하며 네트워크 비트수도 늘렸다 줄였다 사용할 수 있는 것


2) FLSM과 VLSM

  1. FLSM(Fixed Length Subnet Mask)
    • 동일한 크기로 서브넷을 나누는 방식
    • 여러 부서의 컴퓨터 수가 유사할 때 분할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
  2.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 동일하지 않은 크기로 서브넷을 나누는 방식
    • 여러 부서의 컴퓨터 수가 다를 때 분할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최근에 사용하는 주소 할당 방법

'정보처리기사 >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프로토콜 6  (1) 2023.06.01
통신 프로토콜 5  (1) 2023.06.01
통신 프로토콜 3  (0) 2023.06.01
통신 프로토콜 2  (0) 2023.06.01
통신 프로토콜 1  (0) 2023.06.01
profile

랑아

@RangA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