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신기술 동향
02. PICONET
1) PICONET의 개념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UWB 기술 또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
2) PICONET의 특징
- 블루투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 무선 사용자 그룹의 장치를 연결하는 ad-hoc(애드혹 : 액세스 없는 자율적 통신) 네트워크
- PICONET은 단말기를 8개까지 연결할 수 있음
- 이 중 하나는 주국(Master)라고 하고 나머지는 종국(Slave)라고 함
- PICONET은 1:! 또는 1:N로 연결할 수 있음
- 주국과 종국 사이에서 통신은 종국끼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고 꼭 주국을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음
- 하나의 단말기는 주국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종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주국과 종국의 역할을 바꿔가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함
- 주국이 통신을 시작하는 유일한 단말기이지만, 일단 연결되면 종국이 역할 교환을 요청할 수 있음
- 시분할 다중화(TDM) 기술을 이용함
- 주국은 짝수 슬롯, 종국은 홀수 슬롯을 이용함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컴퓨터나 단말기, 스마트폰 간에 네트워크의 사전 정의와 계획 없이 상황에 따라 조정함
- 수십 미터 이내의 좁은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동 중에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음
- 무선 랜(WLAN)과 다르게 전송을 위한 특정 구조가 미리 설정되지 않고 상황에 맞는 조정 프로토콜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함
- 스캐터넷(Scatternet)은 PICONET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하나의 PICONET에 존재하는 종국이 또 다른 PICONET에서는 주국의 역할을 하게 되는 형태
3) 블루투스 IEEE 802.15 프레임 형식
- Access code(72비트) : 동기 비트로 프레임 종류와 주국과 종국을 구분하는 비트
- Header(54비트) : 54비트로 18비트 패턴이 3번 반복됨
- Address(3비트) : 000(0) ~ 111(7)값을 가지며, 8개의 단말기의 주소가 됨
- Type(4비트) :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냄
- F(1비트, Final) : 0이면 프레임 수신 가능, 1이면 더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음
- A(1비트, Acknowledge) : 확인 응답을 하며, Stop-and-Wait ARQ를 사용함
- HEC(8비트) : 18비트 각 헤더 영역의 오류 검출을 위한 검사합(Checksum)
- Data(0~비트) :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
03.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nputing)
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 사용자는 컴퓨터, 휴대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연결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컴퓨팅 스타일
- 자신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 이전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소프트웨어 설치 및 많은 데이터(동영상, 음악, 문서)를 저장해 놓고 사용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은 모든 프로그램과 데이터들을 인터넷을 통해 다른 곳에 저장해 놓고 접속해서 실행하고, 이용할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응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할 필요도 없고, 또한 주기적으로 갱신하지 않아도 되고, 컴퓨터 고장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됨
- E-메일, 웹하드, 네이버의 N드라이브, 인터넷의 스케줄, 인터넷에서 엑셀, 인터넷에서 워드 사용 등은 모두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됨
- 서비스 모델은 IaaS, PaaS, SaaS로 구분함
- 가상화 기술, 서비스 프로비저닝(Provisioning) 기술, 과금 체계 등을 필요로 함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분류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인프라와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까지 갖추어져 웹상의 로그인만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해가며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 서비스 제공업체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사용하는 서비스
-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사용자는 인프라에 대한 어떤 것도 관리하거나 통제하지 않음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운영체제가 이미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만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개발 환경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구축 비용이 들지 않도록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 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발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함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웹상에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에서 제공하는 환경의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 저장소, 콘텐츠 딜리버리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인프라를 임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서버, 웹 서버 등을 운영하기 위해서 기존의 하드웨어 서버, 네트워크 장비, 저장 장치, 전기 관련 장치 등을 가상의 환경에서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서비스
- 사용자에게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및 기타 기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함
- 블록체인(Blockchain)
-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
- 인터넷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
- 블록은 개인이고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 데이터가 연결되어 있다 해서 블록체인이라고 함
- 모든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분산적으로 개개인이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 거래 장부 또는 분산 거래 장부라고 함
- 기존에 개인의 거래 내역은 은행에서 집중 관리했다면, 블록체인은 개개인의 정보가 분산적으로 저장되고 관리됨
- 은행은 중앙 서버에서 모든 거래 내역을 관리하기 때문에 중앙 서버의 공격으로 데이터의 위조, 변조가 가능하지만 블록체인은 참여한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을 분산화하여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조, 변조가 불가능함
- 비트코인(Bitcoin)
- 인터넷에서 통용되는 가상 화폐
- 일반 은행이 없이 블록체인에서 발행하는 화폐
- 비트코인은 발행 기관도 통제하는 곳도 없음
- 채굴(Mining)은 복잡한 거래 내역을 연산하고 저장하는 대가로 코인을 받는 것
- BaaS(Blockchain as a Service)
- 블록체인의 기본 인프라를 추상화하여 블록체인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블록체인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로 서비스하는 개념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함
- BaaS는 구체적으로 BPaaS(Blockchain PaaS)와 BSaaS(Blockchain SaaS)로 분류되며, 이는 PaaS 및 SaaS의 개념에 블록체인을 대입한 것
3) 서비스 대상에 따른 분류
- Private Cloud : 서비스 대상이 특정 기업
- Publec Cloud : 서비스 대상이 일반 대중
- Hybrid Cloud : Private Cloud의 강력한 보안 기능과 통제력, Public Cloud의 비용 효율성이 결합된 방식
4) 클라우드 기반 개발 인프라
- 컴퓨팅 환경
-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운용할 하드웨어 장비를 세팅하여 제공함
- 웹 기반 서비스 운용을 위한 웹 서버를 제공함
- 데이터 관리와 백업 등을 위한 DBMS 서버를 제공함
- 스토리지
-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 관리, 전송, 이중화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세팅하여 제공함
-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를 세팅하여 제공함
- 데이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세팅하여 제공함
- 대용량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전송 스토리지를 세팅하여 제공함
- 데이터베이스
-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세팅하여 제공함
- 고성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세팅하여 제공함
- 대규모 데이터 운영을 위한 웨어하우징을 세팅하여 제공함
- 그래픽, 음성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환경을 세팅하여 제공함
- 네트워킹 전송
- 구성된 서비스, 프로그램,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을 세팅하여 제공함
- 콘텐츠 전송용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을 구축하여 제공함
- API 제공용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개발자 도구
- 프로그램을 실제 개발하기 위한 제반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소스 코드를 손실 없이 관리하기 위한 저장소를 구축하여 제공함
- 코드 개발, 테스트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보안 환경 구축
-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과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사용자 액세스 및 암호화 관리를 구축하여 제공함
- 앱 자격 증명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각종 인증서 프로비저닝, 관리 및 배포를 할 수 있도록 함
- 해킹 공격으로부터의 방어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응용 기술 세팅
- 사물 인터넷, 게임, 증강 현실, 가상현실 등 개발을 위한 환경을 세팅하여 제공함
- 머신러닝, 딥러닝 등 AI 개발환경을 위한 환경을 세팅하여 제공함
- 생산성 향상
- 시스템 볼륨 자동 확장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함
- 비즈니스, 운영 상태 분석 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함
5) SDDC(Software Defined Data Center)
-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는 모든 인파라가 가상화되는 데이터센터를 의미함
- 가상화가 핵심이며, 데이터센터 내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서비스함
- 컴퓨팅, 운영체제, 네트워킹, 기억 장치(Storage) 관리 등을 모두 소프트웨어로 운영함
- 인력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자동 제어 관리를 함
-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서(CPU), 메모리, I/O 및 네트워크의 탄력적 자원 풀(Resource Pool)을 구성할 수도 있음
'정보처리기사 >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보안 구축 1 (0) | 2023.06.02 |
---|---|
통신 프로토콜 7 (0) | 2023.06.01 |
통신 프로토콜 5 (1) | 2023.06.01 |
통신 프로토콜 4 (0) | 2023.06.01 |
통신 프로토콜 3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