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통신 프로토콜(Protocol) 01. 통신 프로토콜 1) 통신 프로토콜의 개념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서로 다른 시스템(System)에 존재하는 개체(Entity)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적, 하드웨어적 약속이나 규칙 및 규약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 구문(Syntax) :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Signal Level) 의미(Semantics) : 조정,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시간(Timing) : 순서, 속도 조절 2) 통신 프로토콜 구조 1.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의 목적 이질적인 시스템(H/W, S/W) 간 상호 접속을 위한 개념을 규정하기 위하여 설계 OSI 규격을 개발하는데 그 범위를 정함 관련 규격의 적합성..

03. 통신망 기술 07. 경로 선택(Routing) 1) 경로 선택 경로 선택의 개념 데이터 패킷을 출발지에서 목적기까지 이용 가능한 전송로를 찾아본 후에 가장 효율적인 전송로를 선택하는 기술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가장 빠르고 신뢰성 있는 경로를 설정 및 관리하며,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주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최적 경로 설정을 위해 패킷이 지나가야 할 정보를 테이블에 저장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함 경로 선택기(Router, 라우터)는 OSI 계층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OSI 계층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송수신지의 IP 주소를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논리 주소 지정 기능과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최단 전송 경로를 선택하..

03. 통신망 기술 01. 전용 회선과 교환 회선 1) 전용 회선 구조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통신 회선만 존재함 통신 회선이 1:1로 사용됨 사용 비용이 비쌈 데이터양이 많을 때 유리함 전송 속도가 빠름 전송 품질이 좋음 컴퓨터의 주소가 필요 없음 경로 선택이 필요 없음 통신 범위가 좁음 보안이 좋음 컴퓨터 n개가 있을 경우 완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통신회선 수 통신회선 수 = n(n-1) / 2 전용 회선은 직통 회선, 분기 회선, 직선 회선, 직선 분기 회선이라고도 하며 점대점(Point-to-Point), 멀티포인터(Multi-Point) 등이 전용 회선에 해당됨 2) 교환 회선 구조 컴퓨터 사이에 교환기가 존재함 통신 회선이 공유됨 사용 비용이 저렴함 데이터양이 적을 때 유리함 전송 속도가 느림 ..

02. 회선 공유 기술 01. 다중화기(Multiplexer) 1) 다중화기의 이해 각 단말기에서 요구한 자원을 하나의 고속 통신 회선을 통하여 일정한 시간이나 주파수를 규칙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으로, 각 단말기 입장에서는 컴퓨터의 자원을 혼자 사용하는 느낌을 갖게 됨 2) 다중화기의 특징 공유되는 통신 회선의 채널을 정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함 공유되는 통신 회선을 규칙적으로 공유함 입출력 대역폭(데이터 전송 속도, 용량)이 모두 같음 단말기들의 전송 속도의 합은 공유되는 통신 회선의 전송 속도와 동일함 전송 채널의 개수와 수신 채널의 개수가 동일함 집중화기에 비해 기술이 단순함 집중화기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듦 집중화기에 비해 구성 회로가 간단함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버퍼를 필요로 하지 않음 다..

01. 데이터 전송 제어 01. 데이터 전송 제어 1)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회선 접속 : 물리적으로 회선을 연결하는 단계로 전화에서 전화기의 코드를 꼽는 단계 링크 설정 : 논리적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전화에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의 전화를 받는 단계 데이터 전송 : 메시지 전송 단계로 전화에서 서로 대화하는 단계 링크 해제 : 논리적인 경로를 종료하는 단계로 전화에서 그만 통화하고 끊는 단계 회선 절단 : 물리적으로 회선을 종료하는 단계로 전화에서 코드를 뽑는 단계 2) 데이터 전송 프레임 전송 프레임의 정의 송수신 비트열이 일정한 형식을 갖춘 구조를 프레임이라고 함 송신 측에서 발생된 정보를 정확한 전송을 위해 사용자 정보에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를 부가하는 과정을 캡슐..

02. 데이터 전송의 기초 01. 전송 모드 1)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 직렬 전송 한 개의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이루는 각 비트를 차례로 한 비트씩 전송하는 방식 병렬 전송 여러 개의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이루는 각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의 비교 직렬 전송 원거리 전송에 적합함 전송 속도가 느림 데이터 통신에 주로 사용 통신 회선 비용이 저렴함 병렬 변환 회로가 필요함 병렬 전송 근거리 전송에 적합함 전송 속도가 빠름 주변 장치(프린터)에 주로 사용함 통신 회선 비용이 비쌈 병렬 변환 회로가 필요 없음 2) 전송 방향 단방향 통신(Simplex)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 상태 시스템의 응답이 필요 없는 업무에 사용함 실시간 파일이나 데이터..

01. 정보 통신 01. 정보 통신 1) 정보 통신의 정의 정보 통신 = 전기 통신 + 컴퓨터(정보처리) 정보처리가 가능한 기계와 기계 간에 전기적인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하는 통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해 통신처리 기능과 정보처리 기능은 물론 정보의 변환, 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 2) 데이터 통신의 정의 데이터 통신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전송 컴퓨터 통신이라고 하며 컴퓨터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 측 컴퓨터에 전송하는 통신 데이터 전송이란 컴퓨터나 데이터 단말기에 의해 처리할 또는 처리된 정보의 전송을 말함 컴퓨터와 단말기 혹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하고 2진수로 표시된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

05. 분산 운영체제 01. MIMD(Multiple Instruction Multiple Data) 1)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 여러 개의 CPU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함 CPU들이 하나의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강결합 구조 병렬 처리 시스템에 적합함 전송 지연이 짧고 데이터 처리율이 높음 프로세스 간 통신은 공유 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짐 공유 메모리를 차지하려는 프로세스 간의 경쟁이 발생함 기억 장소가 하나이므로 운영체제도 하나 모든 CPU가 동등한 입장이므로 대칭적 구조 2) 다중 컴퓨터(Multi-Computer) 여러 개의 CPU가 독립적인 메모리를 사용함 CPU가 독립적인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약결합 구조 분산 처리 시스템에 적합함 전송 지연이 길고 데이터 처리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