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아
article thumbnail
시스템 보안 구축 2

01. 정보보호 03.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1)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의 개념 초기 설계 단계의 기능 명세서에 따라 기본 설계서를 작성하고 상세 설계서 등에 반영된 보안 요구사항을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직접 구현함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의 고려사항 개인정보 입력 시 암호화되어야 하는 범위를 결정함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확인하여 보안 모듈을 선택함 보안 구축 전문 업체의 확인을 통해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 방식의 솔루션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함 응용 프로그램 방식에서의 암호화 부분은 텍스트로 전송되는 부분만을 암호화하여, 이미지와 같이 암호화가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적절히 암호화 적용 부분을 결정함 응용 프로그램 방식의 보안 구축을 완..

article thumbnail
시스템 보안 구축 1

01. 정보보호 01. 정보보호 1) 정보보호의 개념 정보(Information)의 정의 특정 목적을 위하여 광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호, 문자, 음성, 음향 및 영상 등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 또는 지식 정보화(Informationization)의 정의 정보를 생산, 유통 또는 활용하여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그러한 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의 정의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지 위한 관리적, 기술적 수단을 마련하는 것 정보보호의 목적 및 특징 정보보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7

03. 신기술 동향 04. 딥 러닝(Deep Learning) 1) 컴퓨터 처리 방식 기존의 컴퓨터 처리는 인간이 미리 처리 방식으로 알려주고, 입력에 대한 결과를 얻는 방식 데이터를 입력하면 미리 정해준 연산 순서에 따라 연산하여 결과를 출력해줌 2)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입력 데이터와 처리된 결과만을 알려줌 머신 러닝은 처리 방식을 미리 알려주지 않고, 입력에 관한 결과의 데이터를 알려 주고, 그 처리 방식을 스스로 알게 하는 방식 3) 일반 신경망 일반 신경망은 원시 데이터에서 직접 추출하여 만든 특징 벡터를 입력으로 사용함 특징 벡터를 갖는 많은 데이터를 입력할수록 결과가 좋아짐 원시 데이터의 변화에 취약함 4) 심층 신경망(딥 러닝) 심층 신경망을 딥 러닝, 심층 학습망이라..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6

03. 신기술 동향 02. PICONET 1) PICONET의 개념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UWB 기술 또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 2) PICONET의 특징 블루투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무선 사용자 그룹의 장치를 연결하는 ad-hoc(애드혹 : 액세스 없는 자율적 통신) 네트워크 PICONET은 단말기를 8개까지 연결할 수 있음 이 중 하나는 주국(Master)라고 하고 나머지는 종국(Slave)라고 함 PICONET은 1:! 또는 1:N로 연결할 수 있음 주국과 종국 사이에서 통신은 종국끼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고 꼭 주국을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음 하나의 단말기는 주국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종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주국과 종국..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5

03. 신기술 동향 01. 신기술 동향 1) 블루투스(Bluetooth) 다양한 기기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로 에릭슨이 IBM, 노키아, 도시바와 함께 개발하였으며, IEEE 802.15.1 규격으로 발표되었음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핸드폰 등을 기기 간에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말하며, 최대 통신 가능 거리는 10미터 안팎이며, 통신 속도는 24Mbps 정도 블루투스는 동일한 기기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기기 간에도 통신이 가능함 2)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 통신 환경 컴퓨터는 물론 가전제품 등 다양한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야 함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해야 함 ..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4

0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06. IPv6 주소 1) IPv6 주소의 개념 IPv6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32비트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어 128비트의 주소를 사용함 2) IPv6의 주소 형식 IPv6는 128비트, 16비트씩 8부분으로 구성됨 IPv6 주소 체계는 16진수 숫자로 표시되는 8개의 섹션들과 각 섹션 간 구분은 콜론으로 주소를 표현함 각 섹션은 4비트를 16진수로 표현하며 앞자리의 0은 생략할 수 있음(16진수 한자리는 4비트) 3) IPv6의 주소 특징 전송 속도가 IPv4보다 빠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증이 용이함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형태의 3가지 유형으로 할당하기 때문에 할당된 주소의 낭비 요인..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3

0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03. TCP 계층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1. TCP의 기능 두 종단 간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주소와 정보)를 패킷 단위로 교환하게 함 TCP는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에러 유무를 검사함 수신 측에서 잘못 전송된 패킷에 대해 재전송을 요구함 TCP는 OSI 7계층에서 전송(Transport) 계층에 해당함 TCP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 연결형(접속형) 프로토콜 CRC 체크와 재전송 기능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보함 Flow Control 기능을 수행하여 단계별 데이터 전송 상황을 체크함 논리적인 1:1 가상 회선을 지원하여 해당 경로로만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함 TCP를 이용하는 대표 서비스는 FT..

article thumbnail
통신 프로토콜 2

0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01. TCP/IP 프로토콜 1) TCP/IP 프로토콜 1. TCP/IP 프로토콜의 개념 TCP/IP는 TCP와 IP 프로토콜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UDP, ICMP, ARP, RARP 등 관련된 프로토콜을 통칭함 TCP와 UDP로 구분되는 프로토콜은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응용 계층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통신을 담당함 TCP와 UD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에 있음 TCP는 수신 측의 수신 가능 상태, 수신 여부 등을 단계별로 체크해 가며 데이터를 전송함 UDP는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뿐 확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음 2. TCP/IP 프로토콜의 관계 3. TCP/IP의 특징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TCP/IP는 링크 계층, TCP 계층, IP ..